무엇을 8종(種)의 의원(醫員)이라고 하는가?
팔의론
조선의 제7대 임금인 세조는 <의약론(醫藥論)>을 지어서 한계희, 노사신과 아종 등에게 보이고, 임원준에게 명하여 주해를 내어서 인쇄 반포하게 하였다. 그 논(論)에 이르기를,
"무릇 병을 치료하고, 약을 사용하여 길흉을 바꾸고, 조하를 부리고, 화복을 정하는 것은, 다만 그 차고 더운 것을 분변하여 처방하는데 있을 따름이요, 그 성하고 쇠함을 틈타서 일찍 도모하는데 있을 따름이니, 8종의 의원도 그것을 엿보지는 못할 것이다.
사람이 처음으로 병을 얻으면 기운이 오히려 성하여 약의 효력이 발생하기가 쉽고, 또한 독한 약을 쓸 수도 있을 것이나, 몸이 노곤하게 되면 약의 효력도 발생하지 못하고 또한 독한 약도 쓸 수도 없을 것이니, 어찌할 도리가 없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하고, 쇠할 때를 틈타서 일찍 도모하여야 한다.'고 하는 것이다.
몸이 차면 반드시 열기가 있고 몸이 더우면 반드시 한기가 있는 법이나, 몸의 안팎과 중간에 한열의 많고 적음을 분변하기가 어려우므로, 묘한 곳을 깊이 진맥하는 자가 아니면 분변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주리(酒痢)의 병으로 설사를 하는 경우와 같은 때에 냉하다하여 열약을 먹으면 주리가 그치지 아니하고 다른 증세를 나타내니, 만약 얼음 물을 마신다면 많이 마실수록 더욱 좋은 것이다.
이것으로써 열이 극하면 냉이 생기고, 냉이 지극하면 열이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한열을 분변하여 처방 치료한다고 하는 것이다.
창진과 상한의 약제도 이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대저 약을 쓰는 것은 이와 같을 따름이니, 만약 기운이 다하고 마음이 상하여 인리가 이미 기울어졌을 때에는 약을 스지 않는 것만 같지 못한 것이다.
무엇을 8종(種)의 의원(醫員)이라고 하는가 하면,
1 심의(心醫) : 환자를 진실로 아끼는 마음이 있어 병자가 그 눈빛만 보아도 마음의 안정을 얻는 의사
2 식의(食醫) : 병자의 병세를 판단함에 있어 정성이 모자라 병자가 말하는 병명만 기억하고 약을 짓는 의사
3 약의(藥醫) : 약을 짓되 환자의 성색을 판단하지 않고 병자가 말하는 약방문에 의해 약을 짓는 의사, 병이 아침저녁으로 성쇠가 있고 병자의 허실을 구별하지 않고 아픈 부위의 약만 마냥 먹이면서 차도를 기다리는 의사
4 혼의(昏醫) : 병자가 위급하면 저도 덩달아 허둥대는 의사
5 망의(妄醫) : 병자는 언제나 과장되게 고통을 호소하게 마련임을 모르고 병자의 말만 믿고 함부러 약을 지어 먹이는 의사
6 광의(狂醫) : 병자의 고통에는 관심의 없이 병자의 행색과 의복만 보고 약값을 많이 내나 적게 내나만 관심이 있는 의사
7 사의(詐醫) : 의사의 행색만 흉내내며 일부러 환자를 만들고 자기가 만든 한가지 약을 만병통치약이라고 우기는 의사
8 살의(殺醫) : 사계절이 바뀌는 이치와 생명이 살고 죽는 이치를 모르고 고통받는 이를 보고 함께 아파하는 마음도 없으며, 남이 지은 약방문에 일일이 맞다 틀리다 요란만 떠는 의사